장마철과 태풍이 주로오는 여름부터 초가을 시기까지 태풍과 장마의 피해로 수혜를 입을 수 있는 섹터의 종목들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에 대해 방역관련 기업, 비료생산 기업, 농약 생산 기업, 농기계 관련 주식과 폐기물 처리에 관련된 기업들에 대해 분류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태풍장마피해 관련주 – 폐기물기업
 인선이엔티
 사업내용
  - 동사는1997년 설립되어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 폐기물의 중간처리, 재활용골재판매, 소각처리, 매립처리를 진행하고 있음.
  - 건설폐기물 분야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비계구조물 해체에서부터 건설폐기물의 수집/운반 및 중간처리, 순환골재 생산, 소각 및 스팀판매, 폐기물의 최종처분(매립)까지 폐기물 일괄처리 기술 및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종속회사인 인선모터스를 통해 자동차해체재활용 및 파쇄재활용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음.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 감소, 영업이익은 17.8% 감소, 당기순이익은 0.1% 감소.
  - 연결 종속회사의 전반적인 매출이 전분기 대비 하락하였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리 비용등 부대비용 가격 들이 하락함에 따라 수익성은 강화되었음.
  - 기존 폐기물 처리 분야를 넘어 전기차 폐배터리 등 자동차재활용 사업 전반에 걸친 영역으로 연구개발 분야를 확대하고 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2,086억 |  355억 |  55.6% |  
  | 2021/12 |  2,464억 |  249억 |  46.2% |  
  | 2022/12 |  2,376억 |  219억 |  61.0% |  
  | 2023/09 |  1,673억 |  185억 |  56.7% |  
  | 전년동기 |  1,752억 |  185억 |   |  
  | 전년동기(%) |  -4.5% |  -0.1%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건설폐기물 수집, 운반, 중간처리, 순환골재를 생산판매, 폐석면 처리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입니다.
  - 태풍 및 장마 발생시 피해지역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수혜와 기존 장마 시즌에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인선이엔티 홈페이지 바로가기
  
 코엔텍
 사업내용
  - 1993년 7월 16일 설립돼 2004년 6월 18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폐기물 산업이란 환경서비스업의 한 부분으로 각종 쓰레기, 폐기물 등을 수집/운반, 처리하는 산업 활동을 말하며, 방사성 폐기물 수집ㆍ운반 및 처리활동을 포함함.
  - 동사가 위치한 울산지역은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SK 등 대형배출업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입지조건상의 경쟁력과 안정적인 매출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됨.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9% 감소, 영업이익은 28.1% 감소, 당기순이익은 24.2% 감소.
  - 폐기물처리 또는 재활용과 관련한 신기술의 개발여지가 많은 편이어서 이와 관련된 자본수요도 증대될 전망임.
  - 스팀매출은 소각운전시 발생된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 인근업체로 판매하는 사업인데, 현재 동사에서 생산된 스팀일체를 SK에너지, 에스케이피아이씨글로벌에 판매하고 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708억 |  255억 |  26.5% |  
  | 2021/12 |  741억 |  297억 |  24.9% |  
  | 2022/12 |  903억 |  396억 |  22.1% |  
  | 2023/09 |  595억 |  228억 |  23.8% |  
  | 전년동기 |  660억 |  301억 |   |  
  | 전년동기(%) |  -9.9% |  -24.2%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울산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으며, 폐기물처리 전문업체입니다.
  - 태풍 장마등으로 생기는 폐기물이 많아짐에 따라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코엔텍 홈페이지 바로가기
  
 와이엔텍
 사업내용
  - 동사는 1990년 8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2005년 12월 23일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해 산업폐기물을 처리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동사는 산업폐기물 처리 사업인 환경서비스 산업 외에도, 해상운송, 골프장, 레미콘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해상운송 사업은 동사의 탱커선을 이용하여 다양한 케미컬 제품들을 아시아지역으로 운송서비스하고 있으며, 골프장 사업은 보성컨트리클럽으로 2008년에 건설후 운영하고 있음.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 감소, 영업이익은 0.8% 감소, 당기순이익은 1.5% 증가.
  - 해운과 환경 사업부문 매출의 상승에 따라 매출은 전년도 대비 유사하나 영업이익률이 상승하여 사업수익성이 강화되고 있음.
  - 폐기물 최종처리업체는 3개사로 동사는 수집운반부터 중간처리, 최종처리에 이르기까지 일괄처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1,060억 |  219억 |  52.3% |  
  | 2021/12 |  1,118억 |  232억 |  42.0% |  
  | 2022/12 |  1,238억 |  246억 |  68.4% |  
  | 2023/09 |  892억 |  176억 |  94.7% |  
  | 전년동기 |  922억 |  173억 |   |  
  | 전년동기(%) |  -3.2% |  1.5%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전남 여수 소재 기업입니다.
  - 태풍 장마등으로 생기는 폐기물이 많아짐에 따라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와이엔텍 홈페이지 바로가기
  
 태영건설
 사업내용
  - 동사와 동사의 계열회사는 건설사업부문, 레저사업부문, 임대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에서 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 건설사업부문에는 토목환경, 플랜트, 건축, 주택건설 제품 및 서비스를, 레저사업부문에는 자동차 경주장, 호텔, 콘도, 카트 경기장 서비스를 영위함.
  - 임대 사업부문에는 부동산 임대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기타 사업부문에서는 자산관리 및 운영 등을 영위하고 있음.
  
 전년도 실적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4% 증가, 영업이익은 311.4% 증가, 당기순이익은 130.1% 증가. 건설사업부문(토목환경, 플랜트, 건축, 주택건설), 레저사업부문(자동차 경주장, 호텔, 콘도, 카트 경기장)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 동사의 원재료인 철근은 단가가 하락하고 3분기 레미콘 가격은 지역별 협정가격을 적용하여 단가가 유지되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22,815억 |  5,325억 |  487.2% |  
  | 2021/12 |  27,517억 |  654억 |  426.6% |  
  | 2022/12 |  26,051억 |  491억 |  483.6% |  
  | 2023/09 |  23,891억 |  763억 |  478.7% |  
  | 전년동기 |  18,046억 |  259억 |   |  
  | 전년동기(%) |  +32.4% |  195.0%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태영그룹 계열의 종합건설업체. 폐기물 / 소각 및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시설에 관련한 사업을 영위중이라서 관련주식으로 분류했습니다.
  
  
 2. 태풍장마피해 관련주 – 비료 및 농업
 
 동방아그로
 사업내용
  - 농업용 약제의 제조 및 가공판매업을 주사업 목적으로 하는 동사는 1971년에 설립되었으며 금속분말을 제조/판매하는 나노바이오를 자회사로 보유.
  -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유액제, 분제, 수화제 등 다양한 제형의 농약 및 비료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수입을 통한 취급 품목 다양화에 적극적.
  - 고객이 요구하는 선호 제형 및 다양한 혼합제 등을 생산하기 위하여 자동화 생산체계를 구축했으며 다기능 친환경 비료 개발 등으로 제품 다각화 추진.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1% 증가, 영업이익은 44.4% 증가, 당기순이익은 103.8% 증가.
  - 주력 제품의 판가 인상으로 외형 상승세이며, 주요 원재료가의 안정과 고정비 비중 하락한 영향으로 영업수익성 또한 증가한 모습.
  - 기술연구소 신축을 통해 GLP설비를 완비하고, 사용이 편리한 최신의 선호제형 및 다양한 혼합제 등 고부가가치 제품, 다기능 친환경 비료로 사업을 다각화 함.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1,295억 |  67억 |  38.3% |  
  | 2021/12 |  1,341억 |  70억 |  39.0% |  
  | 2022/12 |  1,467억 |  68억 |  43.6% |  
  | 2023/09 |  1,508억 |  164억 |  46.3% |  
  | 전년동기 |  1,333억 |  81억 |   |  
  | 전년동기(%) |  +13.1% |  +103.8%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농약제조 전문업체로 살림꾼, 일품, 싸이메트 등의 농약과 꼬꼬시 등 비료를 생산 및 판매중에 있습니다. 장마 후 농산물의 병충해등이 심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 했습니다.
 동방아그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남해화학
 사업내용
  - 동사는 비료 및 동 부산물의 생산·판매 등을 목적으로 1974년 5월에 설립되어 1995년 11월 10일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 주요 사업 부문으로는 비료 화학 사업 부문, 유류제품 사업이 있으며, 신사업으로 나노실리카 사업 및 반도체용 암모니아수 사업을 추진 중임.
  - 국내시장에는 복합비료, 맞춤형 비료, 요소비료 등 농업용 비료를 판매하고 있으며 2023년 3분기 기준 내수비료 시장 점유율은 41%임.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8% 감소, 영업이익은 86.8% 감소, 당기순이익은 90% 감소.
  - 2023년도는 원자재 가격 및 국제비료가격 하락으로 인하여 주요 제품의 판매가격이 전년 대비 하락하여 매출이 감소하였음.
  - 동사의 주요 매출처는 농협경제지주로서 2023년 1월 농협경제지주와 체결한 비료 납품 계약 규모는 4,246억원으로, 3분기 기간 동안 2,520억원을 납품하였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10,098억 |  250억 |  30.1% |  
  | 2021/12 |  14,519억 |  217억 |  52.5% |  
  | 2022/12 |  21,696억 |  471억 |  73.0% |  
  | 2023/09 |  12,034억 |  64억 |  88.0% |  
  | 전년동기 |  17,154억 |  703억 |   |  
  | 전년동기(%) |  -29.8% |  -90.9%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농협계열의 국내 최대 비료 생산 및 판매업체입니다. 복합비료, 요소, 맞춤형 비료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태풍 장마로 인한 병충해가 생길 가능성이 커지다 보니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동방아그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경농
 사업내용
  - 동사는 1957년 농약 제조, 판매를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197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현재 동오그룹에 소속되어 있음.
  - 주요 계열사로는 비료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조비와 글로벌아그로, 탑프레쉬, 동오시드, 종오육묘 등이 있음.
  - 주요 제품인 작물보호제는 수요의 계절성을 가져 농번기인 3~6월 사이 매출이 집중됨.
  - 이상기후, 천재지변, 병해충의 발생 등에 따라 수요가 영향을 받음.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1% 증가, 영업이익은 21.7% 감소, 당기순이익은 2.4% 증가.
  - 비료판매의 자유화로 시장경쟁이 더욱 치열해 졌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이후 M/S 계속 확대되고 있으나, 외형은 정채 원가부담은 확대되며 수익성 하락한 모습.
  - 동사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원가절감, 친환경 신제품의 개발, 기술혁신과 신시장 개척등의 공격적인 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임.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2,483억 |  133억 |  75.8% |  
  | 2021/12 |  2,703억 |  161억 |  64.2% |  
  | 2022/12 |  3,616억 |  309억 |  72.2% |  
  | 2023/09 |  3,053억 |  259억 |  72.7% |  
  | 전년동기 |  3,051억 |  313억 |   |  
  | 전년동기(%) |  +0.1% |  -17.1%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동오그룹 계열의 농약 완제품 제조 및 판매업체입니다.
  - 주요 제품으로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이며, 태풍 장마로 인한 병충해가 생길 가능성이 커지다 보니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하였습니다.
  
 경농 홈페이지 바로가기
  
 조비
 사업내용
  - 과학적 토양검정을 통해 공급되는 친환경 맞춤 비료와 완효성 비료 등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갖춘 비료전문메이커로서 280여개 품목의 복합비료를 생산하여 농협 및 대리점을 통하여 판매하고 있음.
  - 비료산업은 천연가스 산유국이나 인광석, 염화가리 등 주요 원료 생산국을 제외하고는 국내수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내수 충당목적의 사업임.
  -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경쟁력이 약하며, 원자재 가격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음.
  
 관련주식으로 분류한 이유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8.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 매출 감소는 주로 복합비료의 내수 판매 부진에 기인하며, 매출 감소에 따른 원가부담 가중되어 수익성 악화되며 적자 전환된 상황.
  - 비료시장의 경우 판매의 자유화로 국내외 전면적인 경쟁체제로 전환되어 시장경쟁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 농업인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기능성 비료 확대가 필요한 상황.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737억 |  30억 |  71.6% |  
  | 2021/12 |  846억 |  19억 |  94.9% |  
  | 2022/12 |  1,486억 |  86억 |  111.5% |  
  | 2023/09 |  974억 |  -64억 |  117.9% |  
  | 전년동기 |  1,196억 |  65억 |   |  
  | 전년동기(%) |  -18.6% |  적자전환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국내 최초의 민간자본의 복합비료회사입니다.
  - 태풍 또는 장마로 인해 수요가 많아지는 비료의 생산으로 인해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했습니다.
  
 조비 홈페이지 바로가기
  
 효성오앤비
 사업내용
  - 동사는 농협 계통 유기질비료 납품부문 선두 업체로, 주요 제품은 유기질비료인 혼합유박(펠렛), 혼합유기질(펠렛), 유기복합(펠렛), 부숙유기질, 기능성 바이오제품 등이 있음.
  - 비료의 대부분의 판매는 농협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비료가격 또한 매년 농협과 공급가격을 체결하여 소비자인 농업인들에게 공급함.
  - 종속회사로는 HYOSUNG ONB (PVT)LTD, 황토영농조합법인 등 2개의 회사가 있음.
  
 전년도 실적 현황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3% 증가, 영업손실은 38% 증가, 당기순손실은 51.2% 감소.
  - 정부가 유기질비료 전량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쟁사와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
  - 차세대 미생물 배양체와 40여종의 유기미네랄을 complex한 특허 제품을 통하여 인류의 먹거리에 제일 중요한 식품의 함유 미네랄을 높일 수 있는 친환경 자재 개발을 공급하고 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06 |  301억 |  23억 |  15.3% |  
  | 2022/06 |  340억 |  38억 |  16.1% |  
  | 2023/06 |  297억 |  12억 |  19.2% |  
  | 2023/12 |  110억 |  18억 |  17.3% |  
  | 전년동기 |  88억 |  0 |   |  
  | 전년동기(%) |  +25.1% |  7985.2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태풍 및 장마등으로 인해 유기질 비료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효성오앤비 홈페이지 바로가기
  
 롯데정밀화학
 사업내용
  - 1964년에 설립 된 동사는 2016년 2월 최대주주 변동에 따라 삼성정밀화학에서 롯데정밀화학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롯데그룹의 계열회사로 편입됨.
  - 주요 제품군은 정밀화학제품(메셀로스, 헤셀로스, 애니코트, ECH), 일반화학제품(가성소다, 염화메탄, 유록스), 전자재료제품(TMAC, 토너) 등이 있음.
  - 친환경, 안전, 건강 관련 규제와 소비자 선호 변화 등의 메가 트렌드에 대응하여 스페셜티 케미칼 사업확대를 신성장 전략으로 정립함.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감소, 영업이익은 59.4% 감소, 당기순이익은 112% 증가.
  - 케미컬사업부문의 가성소다, ECH, 암모니아 등의 국제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며 다소 부진한 수준의 외형을 시현함. 원가율 또한 상승하여 수익성 또한 크게 하락한 상황.
  - 메셀로스, 헤셀로스는 신규용도 개발과 시장 개척, 지속적인 신규 Grade개발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12,636억 |  1,988억 |  13.6% |  
  | 2021/12 |  17,803억 |  5,855억 |  23.9% |  
  | 2022/12 |  24,638억 |  1,462억 |  18.1% |  
  | 2023/09 |  13,574억 |  1,723억 |  10.6% |  
  | 전년동기 |  19,672억 |  813억 |   |  
  | 전년동기(%) |  -31.0% |  112.0% |   |  
  
  
 관련주식으로 분류한 이유
  - 롯데그룹계열의 정밀화학 기업으로 비료의 주원료인 암모니아, 요소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수요가 많아지는 비료의 생산으로 인해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했습니다.
  
 롯데정밀화학 홈페이지 바로가기
  
 누보
 사업내용
  - 동사는 2007년 5월 23일 설립되어 비료, 유기농업자재 연구개발 및 판매, 골프장 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2022년 3월 4일 스팩 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하였음.
  - 농업용 비료 사업외에 사업다각화를 위해 2008년 골프장 조경사업에 진출하였고, 골프장에 적합한 전용 비료 및 농약을 개발하여 국내 약 350여개의 골프장에 공급하고 있음.
  
 전년도 실적 현황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8% 증가, 영업손실은 7.1% 감소, 당기순손실은 55.1% 증가.
  - 매출이 증가하였으나 매출원가 상승과 인건비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함.
  - 농업인구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해 성장에 한계가 있는 화학비료 시장에서 동사는 꾸준한 연구개발로 및 농식품 수출 사업에 진출하며 글로벌 농업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463억 |  5억 |  856.2% |  
  | 2021/12 |  611억 |  -47억 |  218.2% |  
  | 2022/12 |  730억 |  -44억 |  190.0% |  
  | 2023/09 |  665억 |  -35억 |  230.9% |  
  | 전년동기 |  589억 |  -22억 |   |  
  | 전년동기(%) |  +12.8% |  적자지속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비료 및 유기농업자재 개발 및 판매를 하는 기업입니다.
  - 스마트팜 관련주에도 속해 있습니다.
  
 누보 홈페이지 바로가기
  
 3. 태풍장마피해 관련주 – 토목자재
 
 하이드로리튬
 사업내용
  - 동사는 토목자재 부품제조 및 판매, 시공, 연구개발을 사업목적으로 1995년 설립되었음.
  - 2022년 10월 13일 리튬플러스에 인수되어 이차전지 소재제조 및 판매사업, 전기전자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폐전지 재활용사업, 광물자원 개발 및 판매업 등 신규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음.
  - 신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지적재산권 확보에 주력하여 2022년 기준으로 특허 20건, 실용신안 1건, 디자인 18건을 소유하고 있음.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59.8% 증가, 영업손실은 29.8% 증가, 당기순손실은 273.6% 증가.
  - 주력인 SEC 앵커 매출이 크게 늘었고 교량용 케이블 내수 매출이 신규 추가되며 전체 외형이 크게 성장함.
  - 매출은 큰폭으로 상승했지만 원재료 가격 상승에 의해 영업손실 폭은 확대됨.
  - 계절적으로는 정부의 SOC 예산집행의 특성상 3분기 이후에 매출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109억 |  -33억 |  19.3% |  
  | 2021/12 |  155억 |  -1억 |  31.9% |  
  | 2022/12 |  85억 |  -36억 |  153.0% |  
  | 2023/09 |  182억 |  -95억 |  255.2% |  
  | 전년동기 |  50억 |  -25억 |   |  
  | 전년동기(%) |  +259.9% |  적자지속 |   |  
  
  
 관련주식으로 분류한 이유
  - SEEE공법을 기반으로 자연 재해 복구에 사용되는 지반 보강용 토목자재인 영구앵커와 고강도의 인장력이 필요한 구조물의 보강용 건설자재인 타이케이블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 이외에도 친환경 사면보강공법인 PAP옹벽, NEO블록옹벽에 소요되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자재와 대규모 낙석 및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고에너지흡수형 낙석방호자재 “SA NET, SA낙석방지 울타리, 토석류 방호망” 등의 특수 건설자재를 생산 공급중에 있습니다.
  
 하이드로리튬 홈페이지 바로가기
  
 뉴보텍
 사업내용
  - 상수도관, 하수도관, 빗물저장시설 등을 주요제품으로 하는 플라스틱 상ㆍ하수도관 제조업과 폐기재활용 사업, 제설제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 전국 상하수도 사업소, 전국 지방자치단체, 대형 건설사를 주요 고객으로 하는 수질환경 전문기업.
  - 폐기물재활용사업은 각종쓰레기 및 방사성 폐기물 수집 및 운반, 처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친환경 제설제 사업은 환경표지인증을 획득한 제설세를 개발함.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 상하수도사업부문’ 주력제품인 ‘고강성 PVC 이중벽하수관’이 동사 매출의 가장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액 중 약 46%를 차지함.
  - 2021년 처음 제설제사업부문 사업을 도입하고 매출액 발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년동기 대비 ‘에코-다노’제품이 209.9%증가함.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426억 |  -56억 |  153.3% |  
  | 2021/12 |  470억 |  -81억 |  323.5% |  
  | 2022/12 |  460억 |  -27억 |  209.2% |  
  | 2023/09 |  344억 |  12억 |  166.8% |  
  | 전년동기 |  306억 |  -38억 |   |  
  | 전년동기(%) |  +12.2% |  흑자전환 |   |  
  
  
 관련주식으로 분류한 이유
  - 태풍 및 장마로 인한 침수피해에 따른 상수도관 및 하수도관 또는 빗물저장시설 관련 사업 영위 등이 시장에서 부각될 수 있습니다.
  
 뉴보텍 홈페이지 바로가기
  
 4. 태풍장마피해 관련주 – 방역관련
 
 파루
 사업내용
  - EPC, Roof-Top 등 다양한 태양광발전소를 시공하였으며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영농형태양광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지본코스메틱이 파루인쇄전자에 2023년 5월 출자하면서 동사의 지분율이 감소하여 당반기말 기준 종속기업에서 제외되었음.
  - 태인태양광발전소가에이아이타임스에 2023년 9월 출자하면서 지분율이 상승, 태인태양광발전소의 지분100%를 소유한 동사가 지배력을 획득하여 연결대상종속기업으로 편입되었음.
  
 전년도 실적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5% 감소, 영업손실은 1.5% 감소, 당기순손실은 61.9% 감소. 태양광 산업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강조하며 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전체에너지의 20%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으로 지속적인 정부의 지원이 있을 전망임.
  - 지방보급사업과 같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조달 사업을 병행하여 경쟁이 치열한 국내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기본 재무 제표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0/12 |  414억 |  -241억 |  114.9% |  
  | 2021/12 |  489억 |  -39억 |  149.4% |  
  | 2022/12 |  405억 |  -46억 |  129.0% |  
  | 2023/09 |  203억 |  -12억 |  121.4% |  
  | 전년동기 |  292억 |  -33억 |   |  
  | 전년동기(%) |  -30.5% |  적자지속 |   |  
  
  
 태풍장마피해 관련주로 분류한 이유
  - 방역 소독기를 생산하는 업체로, 태풍이나 장마 후에 방역이 필요한 점에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으로 분류했습니다.
  
 파루 홈페이지 바로가기
 5. 농기계 관련 기업 알아보기
   6. 마무리 개인적인 생각
 천재지변같은 태풍장마피해 관련주식의 범위가 좀 넓긴 하지만,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업부터 농본기 피해에 대한 비료, 농약, 토목자재부터, 방역 업체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언제나 주식 시장에서 좋은 수익을 거두시길 바라며, 꼭 재무제표를 확인하시는 습관을 가지시다보면 수익률이 좋아지실겁니다. 투자에 기본을 잊지 마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7. 재테크 관련 다른 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