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 관련주 LIST
오늘은 대마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마는 마약성분이죠. 하지만, 의료용으로서의 성분인 CBD, THC와 같이 진통, 안정, 염증과 같은 치료제 연구에 활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대마 자체가 마약성분이라 대부분의 나라에서 허가를 얻기가 쉽지는 않은 상황이지만,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중이며,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마는 초기에는 주로 의식용, 의약용, 그리고 섬유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많은 국가에서 대마의 향정신성 효과와 남용 문제로 인해 금지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1930년대부터 대마초를 불법화하는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최근 몇십 년간 대마에 대한 인식이 다시 변화하고 있습니다. 많은 국가에서 의료용 대마가 합법화되었고, 일부 국가에서는 기호용 대마까지도 합법화되었습니다. 네덜란드, 캐나다, 우루과이, 멕시코, 룩셈부르크, 호주, 독일, 태국 등이 대마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합법화한 대표적인 국가들입니다.
일단 주식시장에서 가장 크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는 대부분 의료용 대마 관련주로 허가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의 수가 가장 좋은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각 나라에서 허가를 받거나 의료용 대마 관련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대통령등의 당선 같은 경우가 가장 큰 반등을 보이는 경우라고 볼 수 있고, 과거 사례에서도 증명이 되었습니다. 대마 관련주는 현재 미국의 대선이 예정되어 있는만큼 관심을 가져볼만 한데요. 바이든이 대선후보에서 사퇴하면서 카멜라 해리스가 대선후보로 나왔습니다. 초접전 양상을 현재 띄고 있는 만큼 예측하기 힘든 대선이 될수 있을것 같습니다.
기존 바이든과 카멜라 해리스 공통적으로 대선공약으로 마리화나 합법화를 예고하고 마리화나 유죄판결 기록의 말소까지 검토한다는 것을 근거로 다시한번 주식시장을 요동치게 하고 있습니다. 대마 관련주는 정치테마주의 성격도 강하기 때문에 언제나 요주의 해야한다는 것을 염두해두고, 투자를 해야하며, 현재 일부 여론조사에서 카멜라 해리스가 앞선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하지만, 박빙인 여론조사와 미국의 독특한 선거문화로 결과는 언제나 예단을 할수 없는 상황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예전 힐러리 클린턴과 트럼프의 대결에서 국민들이 하는 직접 보통선거에서는 이겼지만, 선거인단 확보에 실패하면서 결국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 사례를 예를 들수 있습니다.
대마 관련주 LIST |
|
한국과학기술원인 KAIST와 공동으로 의료용 대마를 활용한 연구 개발 투자를 카나비스메디칼 지분 49.15%를 보유하여 연구 개발을 진행중에 있어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1대 주주는 오성첨단소재가 50.8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1,070 | 28 | 6.9% |
2022/12 | 1,321 | -63 | 5.7% |
2023/12 | 1,225 | 39 | 6.6% |
2024/03 | 319 | 12 | 6.3% |
전년동기 | 315 | 13 | – |
전년동기(%) | +1.3% | -8.4%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대마초 사업 관리법인인 NWLA Holdings를 지분 100%의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LA에서 재배, 제조, 유통과 판매점까지 운영하고 있어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기존 뉴프라이드 사명을 가지고 면세점 사업등 이슈로 한때 연일 폭등하기도 했으나, 결국은 개미들의 무덤이 되기도 한 종목입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817 | 50 | 30.6% |
2022/12 | 660 | 14 | 13.0% |
2023/12 | 384 | -355 | 6.1% |
2024/03 | 56 | -34 | 25.5% |
전년동기 | 86 | -45 | – |
전년동기(%) | -34.5% | 적자지속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2020년 10월 유셀파마 기업과의 대마를 이용한 의약품 원료와 의약품 및 화장품 공동개발 및 상용화를 완료하였으며, 해외 마케팅에 대한 MOU까지 체결한 생태로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252 | -1,763 | 165.9% |
2022/12 | 423 | -445 | 22.3% |
2023/12 | 810 | 261 | 10.3% |
2024/03 | 172 | 27 | 9.4% |
전년동기 | 166 | -8 | – |
전년동기(%) | +3.4% | 흑자전환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2021년 1월 식약청 (식품의약품안전처)로 부터 의료용 대마 재배, 대마 성분 연구를 위한 ‘마약류취급학술연구자’ 와 ‘마약류원류물취급자’ 를 승인을 취득하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여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15,433 | 440 | 233.1% |
2022/12 | 13,551 | 251 | 146.5% |
2023/12 | 12,639 | 189 | 133.2% |
2024/03 | 2,922 | 38 | 129.8% |
전년동기 | 2,677 | 12 | – |
전년동기(%) | +9.1% | +230.6%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한국콜마, KAIST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만들어 대마의 CBD를 추출 및 정제하여 약품 원료를 개발하는 국책사업 업체로 선정되어 경북 안동시에 연구소를 설립해 연구와 개발을 하고 있어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동사는 2012년 4월 23일 설립되어 화장품 소재 제조 및 완제품 위탁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화장품 베이스 소재를 만드는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 생산 및 화장품 ODM/OEM 사업도 함께 영위하는 기업임. MLV(Multi-Lamellar Vesicle)기술, 나노리포좀기술, 무기합성기술 등의 소재 관련 기술로 화장품 소재를 생산하고 있음.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395 | 58 | 21.6% |
2022/12 | 315 | 19 | 28.2% |
2023/12 | 429 | 37 | 32.6% |
2024/03 | 113 | -12 | 41.1% |
전년동기 | 99 | 12 | – |
전년동기(%) | +14.0% | 적자전환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40 | 9.719% | 0.50% |
2022년 | 20 | 9.543% | 0.20% |
2021년 | 100 | 14.537% | 0.80% |
화일약품과 카나비스메디컬을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KAIST 연구진과 함께 대마의 화학물질인 ‘카나비노이드’를 활용한 의료용 대마를 연구 및 개발중에 있어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오성첨단소재가 카나미스메디컬의 지분율은 50.8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921 | -115 | 50.8% |
2022/12 | 1,171 | 24 | 40.3% |
2023/12 | 1,049 | 120 | 27.3% |
2024/03 | 349 | 67 | 23.1% |
전년동기 | 237 | 32 | – |
전년동기(%) | +47.0% | +111.3%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미국 FDA의 안전원료인증(GRAS)를 획득한 피놀라 대마종 자유 원료를 사용한 것이 특징인 캡슐 타입의 ‘nfp 피놀라 대마종자유’ 제품을 판매하고 있어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844 | -201 | 99.0% |
2022/12 | 225 | -136 | 152.4% |
2023/12 | 245 | 1 | 40.9% |
2024/03 | 35 | -13 | 32.0% |
전년동기 | 73 | -1 | – |
전년동기(%) | -52.9% | 적자지속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계열사인 파미노젠 기업이 2021년 10월 대마의 헴프종 연구를 위해 식품의약안전처로부터 ‘마약류학술연구자’ 및 ‘마약류 원료물질 취급승인’을 취득했습니다. 마약성분 0.3%미만의 저마약성 연구개발로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644 | 115 | 42.6% |
2022/12 | 863 | -9 | 138.5% |
2023/12 | 528 | -1 | 65.8% |
2024/03 | 116 | -21 | 32.3% |
전년동기 | 138 | 6 | – |
전년동기(%) | -16.1% | 적자전환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200 | 14.846% | 0.60% |
의료용 대마 과제를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첨단바이오신소재) 국가 과제로 수행하고 있는 이력으로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643 | -384 | 118.3% |
2022/12 | 594 | -425 | 144.0% |
2023/12 | 568 | -323 | 178.8% |
2024/03 | 159 | -49 | 197.3% |
전년동기 | 156 | -74 | – |
전년동기(%) | +1.9% | 적자지속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2022년 5월 라오스 현지의 의료용 대마 사업 공동 진행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으며, CBD 오일에 대한 국내 총판권 해외 건강식품 판권을 확보했으며, 2022년 8월 호주의 대마 재배 전문기업인 ‘그린파머스’에 투자하며, 대마 원료 수입 독점 계약을 체결한 이력으로 대마 관련주로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대마 관련주로 이력은 있지만, 문어발식 사업 확장으로 뚜렷하지 않은 사업내용에 투자에 유의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
2021/12 | 174 | -239 | 54.8% |
2022/12 | 203 | -426 | 74.6% |
2023/12 | 269 | -324 | 55.4% |
2024/03 | 75 | -29 | 46.4% |
전년동기 | 53 | -35 | – |
전년동기(%) | +41.1% | 적자지속 | – |
주당배당금 |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 | |
2023년 | – | – | – |
2022년 | – | – | – |
2021년 | – | – | – |
대마 관련주는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규제 환경과 연구 결과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관련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 대마 산업은 앞으로도 많은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마 관련주는 변동성이 큰 만큼 규제완화, 허가소식등에 반응을 하지만, 높은 변동성은 잊지 말고 주의해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회사의 재무제표를 보면 알수 있듯이 재무 상태가 좋은 곳이 많습니다. 신중에 또 신중을 기해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2025년 1월 27일 미국의 주식시장에서 DeepSeek AI 모델이 공개되면서 미국 및 글로벌 주요 기술 주식들이…
오늘은 낙태권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2024년은 미국의 대선 주요 이슈중 하나인 낙태권이 대선을…
오늘은 탄소중립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2005년부터 EU를 시작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규정한 국제 협약에…
조림사업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림사업은 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업입니다. 기본적으로 목재,…
오늘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관련주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최근 가을 겨울 봄에 급증했던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발병 주기가…
오늘은 탄소나노튜브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세대 소재 산업에서 빼놓을수 없는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